python
자료형
설유리아
2020. 1. 15. 16:43
숫자형
연산 부호
- 덧셈 : +
- 뺄셈 : -
- 곱셈 : *
- 나눗셈 : /
- 나머지 : %
- 거듭제곱 : **
- 혼합 계산 : +,- 를 나중에 계산
- 괄호 : 먼저 계산
print(1 + 2)
print(1 - 2)
print(1 * 2)
print(5 % 2)
print(5 ** 2)
print(1 + 2 * 3)
print(2 * (2 + 3))
정수형
- 정수형끼리의 연산 : 정수형
- 정수형끼리의 나머지 : 소수형
print(1 + 2)
print(3 - 1)
print(2 * 3)
print(5 % 2)
print(2 ** 3)
#예외
print(3 / 2)
print(4 / 2)
소수형
- 정수형과 소수형 간의 연산 : 소수형
- 소수형끼리의 연산 : 소수형
print(1.5 + 2.5)
print(1.5 * 2.5)
print(3.0 / 2)
print(3.0 % 2)
print(2 ** 3.0)
print(1.5 * (2 + 1))
문자열
문자열
- 출력 방법 : " ", ' '
- ' ' 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: " ' ' "
- " " 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: ' " " '
- 문자열과 문자열 더하기 : 앞의 문자열과 뒤에 문자열이 합쳐진다.
- 문자열의 곱셈 : 앞의 문자열을 뒤에 숫자만큼 반복하기
print("문자열")
print('문자열')
print("문자열과 '문자열'")
print('문자열과 "문자열"')
print("안녕" + "하세요")
print("1" + "2")
print("안녕" * 2)
형 변환
형 변환이 가능한 경우
- 소수형 → 정수형 : int(소수형)
- 정수형 → 소수형 : float(정수형)
- 문자열 → 정수형 : int("정수형 숫자")
- 문자열 → 소수형 : float("소수형 숫자")
- 정수형 → 문자열 : str(소수형)
- 문자열 → 아스키코드 : ord("문자열")
print(int(2.1))
print(float(2))
print(int("2") + int('1'))
print(float("1.2") + float(2.1))
print(str(2) + str(1))
print(ord("a"))
형 변환이 불가능한 경우
- 문자열 → 정수형 : int("문자열")
- 문자열 → 소수형 : float("문자열")
- 문자열인데 소수형 → 정수형 : int("소수형")
print(int("문자열"))
print(float("문자열"))
print(int("3.0"))
불린
불린 :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자료형
- 초과 : >
- 미만 : <
- 이상 : >=
- 이하 : <=
- 같다 : ==
- 같지 않다 : !=
print(1 > 2) # 1은 2 초과이다.
print(1 < 2) # 1은 2 미만이다.
print(1 >= 2) # 1은 2 이상이다.
print(1 <= 2) # 1은 2 이하이다.
print(2 == 2) # 2는 2와 같다.
print(2 != 2) # 2는 2와 같지 않다.
- and : 모두 True여야만 참이고, 그 외는 모두 False.
- or : 모두 False여야만 거짓이고, 그 외는 모두 True.
- not True : False
- not False : True
- 괄호 : 먼저 계산
print(True and True)
print(True and False)
print(False and False)
print()
print(True or True)
print(True or False)
print(False or False)
print()
print(not True)
print(not False)
print()
print(1 > 2 or (1 < 2 and 1 != 2))
# True True
# False True
type 함수
- type(정수형) : int
- type(소수형) : float
- type("문자열") : str
- type(불린) : bool
print(type(1))
print(type(1.0))
print(type("문자열"))
print(type(1 > 2)) # 불린
-
□ // △ : □를 △로 나눈 후 소수 부분을 버림 (소수형이 있을 경우 결과값 = 소수형)
-
round(□, △) : □를 소수점 △째 자리로 반올림 (△를 쓰지 않을 경우 0으로 인식)
-
\n : 줄바꿈 기호 (엔터키와 같다.)
print(5 / 2)
print(5 // 2)
print(round(1.45643, 1))
print(round(1.45643, 4))
print(round(1.45643))
print("안녕하세요.\n줄바꿈 기호입니다.")